소프라노 김은미 독창회를 다녀와서


go Magazine Menugo Stage Vol.21






스테이지 공연리뷰

소프라노 김은미 독창회를 다녀와서


소프라노 김은미의 다섯 번째 독창회가 2021년 11월 18일 목요일 여의도 영산아트홀에서 열렸다.
위드코로나 시대에 우리는 어느덧 상황에 적응하고 방역의 생활화가 일상생활이 되었다.
너무도 당연하게 QR코드 인증을 통해 자가 진단을 마친 후 입장하는 모습들이 너무도 평화로워 보인다. 한 자리 띄어 앉아 보는 객석도 이제는 편안하게 느껴졌다, 오히려 옆에 사람이 앉는다고 생각하면 그것이 더 어색할 정도이다.

소프라노 김은미는 F.Mendelsshon 작곡의 오라토리오 [Elijah(엘리야)]에 나오는 소프라노 영창인 “Höre Israel (들으라 이스라엘아)” 로 독창회의 문을 열였다.
이 곡은 리릭한 중 음역대의 가창법을 이해해야 부를 수 있는 곡으로, 안정된 호흡과 정확한 딕션의 가창을 보여주어 다음 곡들의 기대감을 상승시켰다.
이 곡의 후반부에서는 코로나 19로 지친 관객들의 몸과 마음을 어루만져, 용기와 위로의 메세지를 선포하는 듯 당당한 가창을 보여주었다.

두 번째 곡으로는 A.Berg(1885~1935)작곡의 Sieben Frühe Lieder으로
베르크의 초기에 쇤베르크의 지도하에 작곡된 곡 중 7곡 중 1)Nacht 밤 2)die Nachtigal 밤 꾀꼬리
3) Liebesode 사랑을 찬미하는 노래 4)Sommertage 여름날 총 4곡을 연주하였다.
아주 절제되고, 밀도있는 소리에 유려한 프레이징이 돋보이는 가창을 하였으며, 마치 받아쓰듯 정확한
독일어 딕션과 뉘앙스로 관객으로 하여금 집중하게 하였다.
긴 시간 비엔나에서 공부한 그녀의 이력이 말하듯이 완성된 연주를 보여주었다.

세 번째 곡은 O.Messiaen (1908-1992)작곡의 Danse du bébé-Pilule“아기 필륄르의 춤”을 선보였다.
메시앙 자신의 가사로 소프라노와 피아노를 위한 6개의 노래인 “Chanrs de Terre et de Ciel (하늘과 땅의 노래)” 중 3번째 노래이다. 이 곡은 실황에서 자주 접하지 못하는 곡으로 특히 피아노가 난해한 곡으로 유명하다. 이 곡을 감상하는 동안 두 사람의 성실한 준비와 자세가 음악에 나타나, 나머지 곡들은 어떻게 연주할지 기대가 되는 무대였다.

네 번째 곡은 F.Liszt (1811~1886)작곡의 “3 Petrarca sonette (3개의 페트라르카 소네트)”로
1)Pace non trovo 평안은 이제 없네 2)Benedetto sia il giorno 모든 것은 축복 3)I vidi in terra 이 땅에서 천사를 이다.
소네트(sonette)라 함은 한 개의 시연에 14개 행으로 구성된 서정시로, 리스트 자신의 앨범에 수록한 곡으로 아름답고 어려운 곡이다.

첫 번째곡은 페트라르카 자신이 라우라를 향한 사랑의 행복과 거절의 고통을 잘 표현하였다. 두 번째곡은 라우라를 만나 자신의 사랑으로 모든 감정을 축복하는 곡이다.
특히 이 곡에서 황홀감과 경의로움을 가감없이 잘 표현하여, 첫 곡과의 좋은 대조를 보여주었다.
세 번째곡은 이 곡 중에서 가장 성숙한 과정을 보여주는데, 자신의 색채를 가지고 성숙 되어가는 사랑을 잘 묘사하였다. 다만 독일어의 완벽한 뉘앙스에 반해 이탈리아어 딕션의 표현은 아쉬움이 남는다.

다섯 번째와 여섯 번째의 무대는 아리아로 구성되었다.
E.W.Korngold (1897-1957)작곡의 오페라 “Die tote Stadt”죽음의 도시中 “Glück, das mir verblieb”로 Marietta가 부르는 아름다운 곡이다.
사랑의 기쁨을 말하지만, 삶의 덧없음을 노래할 때 절제된 슬픔을 잘 묘사하였다.
피아노와 성악가가 연주하는데, 마치 오케스트라와 연주하는 듯 아름다움에 빠져들었다.

마지막곡으로 G.C.Menotti (1911-2007)의 오페라 '“The Medium”영매 中 Monica's Waltz 모니카의 왈츠이다. 김은미는 등장과 함께 한 쌍의 인형을 가지고 나와서 토비와 모니카의 인형극과 함께 시작하였다. 모니카 왈츠의 활기차고 탄탄한 소리와 인형극의 경쾌한 분위기를 잘 살려냈다.

우뢰와 같은 박수에 이어 “11월 18일 수학 능력평가일에도 수능 한파조차 없는 따뜻한 날을 주심에 감사한다”는 짧은 멘트로 시작된 앵콜곡은 김효근 작곡의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이다

이 독창회를 통하여 소프라노 김은미의 학구적으로 연구하고 갈고닦은 그의 노력과 정성이 이 무대를 통하여 고스란히 전달되었다.
그가 무대에서 보여준 성실하면서도 유려한 소리와 음악은 오늘 무대에서 빛을 발하였다.

“노력하며 발전하는 성악가의 모습은 관객들에게 기쁨을 선물한다”


글 발행인 박경준
buonart@naver.com


* * *







• 2022 국립오페라 스튜디오 • Music • Opera • Stage • classic magazine • opera magazine • 강화자 • 객석 • 게임음악콘서트 • 공연 • 굿모닝 가곡 앙코르 • 글로리아의 현장 스케치 • 라 보엠 • 라트라비아타 • 메조소프라노 신성희 • 무대 • 뮤직 • 바리톤 • 박경준 • 박경준의 스테이지 • 베세토 오페라단 • 봄뫼의 나도 평론가 • 부부성악가 • 소프라노 김은미 독창회 • 스테이지 • 스토리텔링 오페라 • 오썸남 • 오페라 • 오페라 인문학 • 오페라 청교도 • 오페라매거진 • 오페라잡지 • 오페라전문매거진 • 오페라전문잡지 • 월간 • 이무지치 • 작곡가 성용원 • 장 라신느의 찬가 • 쟈코모 푸치니 • 조수미 • 클래식잡지 • 클래식전문잡지 • 테너 석승권 • 테너 이재영 • 화제의 책